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네이트의 Bad UX 가끔 네이트 기사를 살펴보는데 종종 동영상이 첨부된 기사들이 올라온다. 그럼 여지없이 '해외 거주자는 시청하실 수 없습니다'라는 경고창이 나타나고 OK를 클릭하면 이전 페이지도 아닌 전혀 관심 없는 뉴스 홈으로 강제 이동을 시켜버린다. 난 최신 뉴스 리스트를 보고 있었는데, 강제로 홈으로 이동해버리니 우측의 리스트도 다 사라져 버린다. 무엇보다 난 동영상엔 관심이 없었다. 그냥 기사를 보고 싶었을 뿐인데 해외 거주자라는 이유만으로 기사를 읽을 권리조차 박탈당한다. (해외에선 네이트 TV 버퍼링 느려서 잘 볼 수도 없다.) 이럴 경우 동영상 플레이어 자체에만 IP에 따른 Block 기능을 넣어놔야 하는 것 아닌가. 여러 가지 Use Case에 대해서 좀 더 고민하시길 바란다. 더보기
Facebook 로그인 보안 관리 Facebook 계정 도용이 불안하시다면 privacy 설정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해보도록 하자. 나도 이런 설정이 있는지 모르다가 오늘에서야 facebook 관련 블로그를 통해 알게 된 정보이다. Account > Account Setting 으로 들어간다. Account Security 로 들어가면 다른 device 에서 로그인 할 경우에 알림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Yes에 체크를 하고 Submit을 클릭한다. 다른 브라우저 또는 Device에서 Facebook 로그인을 시도하면 위와 같은 안내 페이지가 먼저 뜬다. 자신의 계정으로 올바르게 접속한것이 맞다면 Device Nickname 을 설정하고 로그인을 완료한다. 다른 브라우저 또는 Device 에서 로그인을 했을 경우 메일.. 더보기
HTML5가 떠오른다. HTML5가 요즘 많이 거론되고 있는데, 현재 YouTube와 나도 자주 이용하는 동영상 서비스인 Vimeo에서 테스트 환경을 선보인 바 있다. 간단하게 HTML5의 요점을 얘기하자면 그간 Flash로만 구현이 가능했던 유기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Flash를 이용하지 않고 구현이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ActiveX의 컨트롤이 필요한 기술적 이슈들도 HTML5로 컨트롤이 가능해진다고 한다. YouTube에서 HTML5를 시험적으로 운영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테스트했을 때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애플이 iPhone에서도 그랬고, 이번 iPad 발표에서도 Flash를 지원하지 않는 이유는, 물론 iPhone OS에서의 보안 및 안정화의 이슈가 있을 것이고, HTML5의 범용적인 .. 더보기
모바일 환경에 대처하는 그들의 자세 문득 궁금해서 3대 포털을 아이폰의 사파리로 들어가 보았음. 네이버 : www.naver.com 을 치면 자동으로 m.naver.com으로 리다이렉팅,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UI를 보여줌. 타이틀도 '네이버 모바일' 다음 : www.daum.net 을 치면 자동으로 m.daum.net으로 리다이렉팅,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UI를 보여줌. 네이트 : www.nate.com 을 치면 웹사이트 그대로 출력됨. 모바일 전용 UI 페이지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무선 인터넷 환경에 대한 SK의 인식이 그대로 반영되어있는 것인가..... 라는... el. 더보기
애플, 구글은 되는데 당신 회사는 안되는 이유.. 이미지 출처 : http://www.scottmonty.com 참 간단 명료하고 보는 순간 마음에 드는 그림이었다. ★★★★★ 사실, 오너의 마음이란 다 애플이나 구글과 같고 싶겠지만, 마음만이다. 뭔가 우리가 가진 컨텐츠를 마음껏 활용해야하고(없으면 극대화 시키고 포장해야 하고), 가능한 모든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뭔가 큰 일이 나고 기회 비용이 모두 날아갈 것 처럼 말이다. 그렇게 '상관없는' 많은 사람들이 몰두하는 사이에 가장 중요한 '목적성'은 산건너 물건너 바다건너 가버리고 실패의 요인을 다른 곳 또는 엄한 사람에게서 찾는 법. 물론 중요한건 수십, 수백가지이다. 하지만 그 중 중요한 포인트를 참 간결하게 지적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원문 : Why Apple & G.. 더보기
한국어판 트위터? '야그(yagg)' 어제부터 트위터에 '야그' 베타 서비스에 대한 트윗들이 계속 올라오길래 뭔가 해서 둘러봤더니.. 정말 말 그대로 '한국어판 트위터'였다. 인터페이스까지 완전 똑같으니, 트위터를 한국어로 서비스하는 느낌이랄까. (http://yagg.kr) 사실 첫 인상은 '이런 카피 서비스를 궂이 만들어야 했을까' 싶은 생각이었다. 또 한편으로는 '트위터가 이제 막 붐을 타고 있는 이 시점에 좋은 타이밍일 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도 들었고.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거 왜 만들었을까?'에 더 가까운 생각이다. 딱히 트위터의 한글, 한국 사용자 진입 장벽이 높은 것도 아니고, 이미 수없이 많은 소통의 대상들과 유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궂이 똑같은 UI에 사용 방법까지 똑같은 서비스를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만든 .. 더보기
소리바다는 맥을 지원하는구나 최근에 사고 싶은 앨범들이 몇 개 있었는데, 그 중 박지윤의 신곡이 마음에 들어서 Yes24를 통해서 해외 배송 주문을 해보려 했으나, 해외 배송 불가 상품으로 분류가 되어 있었다. 친구를 통해서 EMS로 보내달라고 부탁해도 되긴 하나 왠지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던 터에 문득 소리바다가 맥을 지원한다는 얘기를 어디선가 봤던 기억이 나서 들어가봤다. 결론적으로 결제, 스트리밍, 다운로드까지 완벽하게 맥 환경을 지원해 주고 있었다.(결제는 핸드폰 결제만 맥이 지원된다. 기타 카드결제 등등은 ActiveX가 필요하니..) 소리바다가 급호감으로 바뀌는 순간이랄까. 그동안 소리바다를 잊고 살아온지가 몇 년인데.. 여하튼 스트리밍+다운로드 40곡을 결제하고 박지윤의 곡들을 다운받아 보았다. (사실 그 전에 소녀.. 더보기
Facebook 단축 URL 제공했던 날 샌프란시스코 시각으로 지난 금요일 오후 9시1분부터 Facebook이 username 설정을 추가한다는 공지를 금요일 며칠 전부터 띄웠었다. 기존의 내 Facebook URL이 http://www.facebook.com/profile.php?id=523732305 이런식으로 User ID 값으로 표시 되었던 반면에 이번에 추가되는 기능은 긴 URL대신 http://facebook.com/username 식으로 줄여주는 것이다. 난 저 9:01pm을 금요일 아침 9시1분으로 한동안 착각을 하고, 금요일 아침에 운동을 다녀와서 샤워를 일찍 마치고 9시 몇분 전부터 minwoo라는 Username을 사수하기 위해 출근전에 컴퓨터 앞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드디어 9시1분이 막 지나는 찰나.. 리플레쉬를 해도 계.. 더보기
트위터로 간단하게 데이트를? 어쩌다 보니 연속으로 트위터 관련 포스팅을 이어서 하게 되는데, 오늘은 참 재미있는 아이디어의 매쉬업 서비스를 발견했다. 이른바 트위터 데이팅. 트위터 API를 이용한 서비스들이 많이 있는데, 그 중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린 '한국 트위터 사용자 소개 페이지' 같은 경우는 간단하게 #self_intfo 를 트윗 앞에 붙여주면 자동으로 트윗 데이터를 호출해서 뿌려주는식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런식으로 특정 키워드를 사용하여 그 값을 활용한 여러가지 아이디어의 마이크로 서비스들이 가능한데,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데이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유저들의 필요 정보를 트윗으로 전송받아서 radaroo.com 이라는 호스팅 사이트에서 다시 정리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각 국가별 Country Key 가 따로 존재해서, 국.. 더보기
연아양과 함께 트위터를 / Twitter.com 글로벌 SNS는 절대 우리나라에선 발붙이지 못할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대통령인 오바마가 대선기간 유권자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던 Facebook과 함께 화제가 되었던 Twitter. 지금은 상당히 많은 영미권 유명인들이 Twitter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가수, 영화배우, 정치인들을 포함한 영미권 유명 인사들이 이용한들 Twitter는 우리나라 사용자들에겐 잘 알려지지도 않았을 뿐더러 한국어를 공식 지원하지 않는 미국발 글로벌 서비스의 언어 장벽 또한 높은 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닥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그러나, 최근에 작은 반전이 일어나고 있으니, 바로 요즘 최고의 브랜드파워를 자랑하고 있는 피겨 여왕 김연아양이 개인적으로 Twitter를 가입하여 사용한다는 소식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