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포스트는 비난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몇일전에 여기저기 글을 보던 중 다음과 같은 요지의 주장이 들어 있는 글을 보게되었습니다. 기사내용을 요약해서 자기 생각 조금 더 달아서 올려놓는 포스트,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조금 각색하여 올린 포스트들, 별 의미없이 스크랩한 포스트들은 별 가치가 없는 포스트들이다. 정확한 표현은 기억나지 않지만 그 땐 그냥 '내 생각과는 좀 다르군' 하며 또 다른 글들을 읽었는데. 오늘 갑자기 그 주장에 대해서 나의 의견을 남겨보고자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때 읽었던 그 포스트에 트랙백을 통해서 토론을 좀 해볼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도대체 어디서 읽은 글인지 검색을 이리저리 해보고 찾아봤는데.. 찾기가 힘드네요..;; (저 내용이 정확히 어떤 표현으로 쓰여져있었는지는 기억이 잘 안나지만, 의견 피력의 시발점으로 .. 더보기 아시아지역 블로그 이용자에 대한 조사 조사주체 : MS 온라인 서비스 사업부 대상국 : 한국, 홍콩, 싱가포르, 인도, 타이완, 태국, 말레이시아 표본수 : 2만5,200여명 글 출처 : 디지털콘텐츠 12월호 (박현수 기자) Q. 블로그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 한국 - 83% (7개국 평균 66%) Q. 블로그를 운영중이다. 한국 - 65% (7개국 평균 46%) Q. 블로그 컨텐츠를 신뢰한다. 한국 - 85% Q. 좋은 블로그의 기준은? 한국 -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블로그 인도,홍콩, 싱가포르 - 정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는 블로그 Q. 블로그 방문 이유? 한국 - 관심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접할 수 있기 때문 기타 -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Q. 가장 선호하는 블로그 컨텐츠. 테크놀러지 > 여행 > 음악 detail report.. 더보기 Blog [2003/11/24] 크리스마스이브가 한달앞으로 다가온 이 시점에.. 민우는 요즘 블로그와 서민정 MODE다.. 서민정은 요즘 한창 자신이 음치임을 무기로 내세워 인기몰이중이다. 그치만.. 난 그전 SBS시트콤에서부터 좋아했던터라.. 새로운 모습에 약간 당황은 하였으나.. 이내 적응됐다. 그리구 블로그.. 사실 블로그는 벤치마킹을 하기위해서 이리저리 둘러보는 중이기도 하다. 근데.. 네이버 블로그의 아기자기함에 감동하며, 나 자신도 커뮤니티의 주체로서 이런저런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중이다. 역시나.. 싸이월드를 만든 사람들의 솜씨라 그런지.. 그전부터 익숙하게 느껴지는 아기자기함이 네이버 블로그에서 느껴진다. 우리나라엔 늦게 도입된 개념이기도 하지만.. 요즘 대한민국 포털과 커뮤니티는 블로그 붐인것은 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