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시간으로 새벽 2시30분쯤 되면 샌프란시스코 본사 사람들이 출근하기 시작한다. 금요일 저녁약속을 마치고 사무실로 들어와서 기획 문서를 마무리하고 새벽 2시30분에 메일을 보냈다. 새벽도 깊어지는 시간에 집에 들어왔는데 유난히 큰 빗소리를 들으며 이런저런 생각에 잠기기 시작했다.

#2
Karen이라는 친구가 있다. Facebook에서 만난 친군데 Facebook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얼마 안되서 알게 된 친구라 나름 '오래된' 친구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정작 최근에 들어서야 이 친구와는 Karen의 표현에 의하면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을 시작했다. 요즘은 Facebook Message를 통해 많은 얘기들을 나누고 있다. 나이는 무척 어린 친구지만 최근에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정말 생각이 많고 어른스러운 친구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생각을 나누는 것도 좋지만 가끔은 미국에서 20대 아이들이 실제로 쓰는 영어 표현들을 공부할 수 있어서 무척 고맙게 생각하기도 한다.

#3
토요일 해가 뜨기 전, 새벽에 메일을 보내놓고 집에 들어와서 그동안 회사를 떠나서는 나름 오프라인 생활에 충실했다만, 잠도 안 오고 해서 여기저기 기사들과 개인 메일들을 체킹했다. 그리고 새벽 3시 반쯤 되었을까. 자기 전에 Karen에게 문득 생각난 화제를 메시지로 보내고 브라우저를 끌려고 하는 찰나 Facebook에 새로운 메시지를 알리는 숫자가 떴다. 우린 '이기심'과 '관계'에 대해서 메시지를 주고 받기 시작했다.

#4
맙소사, 그녀는 정말 나한테 큰누나가 있다면 해줄 법한 주옥같은 얘기들을 내뱉었다. 그리고 어찌 보면 문화적 차이에서 올 수 있는 새로운 시각에 따른 생각들이 나름 신선하면서도 어떤 대목에선 뒤통수를 치기도 했다. 이날 대화의 마지막 즈음에 나름 정리해서 내린 결론은 이거다. "나 자신을 챙기지 못하고 만족시키지도 못하면서 남을 챙기고 배려하는 행동에 더 집중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맞는 말이지.. 그러나 그 적당한 경계는 어느 정도에 있을까? 일단 부분 수용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내 생각과 의지를 조합해 보도록 한다.

#5
비는 거세게 내렸지만 그럼에도 영화를 보고 싶기도 했고, 영화제 주최측에서 일하는 동생의 프리미엄을 안고 온라인 매진된 표를 구해줬는데, 그 걸 생각해서라도 망설임을 접고 부천으로 가야 했다. '오직 사랑으로'의 히로키 류이치 감독은 무대 인사에서 전세계에서 제일 처음 개봉하는 자리라고 소개를 했다. 어찌 보면 참 웃기지만 영화를 보는 내내 어제 새벽에 나눴던 얘기들이 머릿속에서 계속 맴돌았다. '오직 사랑으로'의 주인공 유리는 Karen의 표현을 빌리자면 "just plain stupid" 라고 표현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혼자 하면서 실실거렸다. 단지 영화 속 이야기들로는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유리의 '희생'이 '사랑'을 떠나서 마치 '몹쓸 배려'병에 걸려 있던 어느 순간의 내 모습과 비슷한 것 같다는 생각에 살짝 씁쓸하기도 했다.

#6
개인적으로 '오직 사랑으로' 이 영화 추천하지는 않는다. 판타스틱 영화제를 위한 영화이겠지만 그다지 모든 게 공감되지 않아서 개인적으로는 좀 별로였다. 덕분에 이런저런 생각들은 좀 많아졌지만.

#7
요즘 따라 영화, 책, 대화를 통해 뭔가 발견하고 받아들이고 토론하기도 하고 생각에 빠져 있는 시간이 좋아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이전보다)오프라인을 지향하며 혼자만의 시간을 탐닉하려 하는 모습들이 '발전'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이전보다 더 '이기적'인 모습으로 나를 가두게 하는 건 아닐지 궁금증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el.

벌써 8년전!!
외장하드 정리하다가 2000년에 촬영했던 비디오 파일들을 찾았다. 그 때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프로듀싱 하면서 '김피뒤'라는 닉네임으로 활동을 했었는데, 당시 녹음했던 수많은 방송 프로그램 오디오 파일들과 비디오 파일등 추억의 자료들이 외장 하드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지니와 룡이의 테마게임'과 모든 웹쟈키(이 웹쟈키란 용어도 정말 오랜만에 쓰는구나!! 새롭네)들이 모여서 특집 방송을 했던 스튜디오 동영상들을 한참 보면서 잠깐 지난 추억에 잠겼었다. 이 당시 인터넷 방송 제작 소스가 Real Audio(.rm) -> Windows Media(.asf)로 넘어가는 단계였고, 한창 Real Audio가 대세였다가 저물고 있었던 시기다. 점차적으로 Windows Media로 넘어가던 시기였을까.. 그 때 사용했던 Real Audio Recording 프로그램들이 참 낯설다. 그리고 비디오 속의 내 모습 역시 참 낯설다. 저 땐 정확히 무슨 생각을 하면서 살았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당시 보드 낙서들.. 내 이미지는 항상 저런 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시 방송 편집실


Old Film #2 from Minwoo Kim on Vimeo.

Old Film #1 from Minwoo Kim on Vimeo.

다들 잘 지내고 있겠지?

el.

애자일 이야기의 글에서 비폭력 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에 대한 글을 보다가 문득 생각이 들었다. 많은 서적이나 고언들을 통해 화난 사람이나 감정적으로 격해있는 사람과 싸우려 하지 말라고 조언하는 것을 접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이러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은 문화와 개인성에 따라 차이가 좀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면 대체로 성격 급한 한국 사람들에게 이런 비폭력 대화가 통할 수 있는 상대가 얼마나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이다. 난 지금 어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나름 열도 '한가득' 받고 있다가 마지막 수단으로 상담원 연결을 선택했는데 상담원은 '잘 안 돼서 속상하시죠?"라는 답변으로 공감을 시도하지만 이로 인해 마음이 좀 풀어질 수 있는 사람과 더욱더 약이 오르는 사람의 비율이 얼마나 될까? 마음이 좀 풀어지는 경우는 잠시 안달 나있던 생각에 여유를 주면서 릴렉스를 할 수 있게 된 경우일 테고, 더욱 약이 오르는 경우는 해결책도 없으면서 저런 식으로 상담하는 것이 더 화가 난 경우일 것이다. '대체적으로 성격 급한 한국 사람'이라는 가정이 좀 비합리적이긴 하다만, 솔직히는 난 후자에 가까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어설픈 협상 시도를 통해 인질이 죽을 수도 있다는 거랄까.. (근데 애자일 이야기에 등장한 상담원은 베테랑이 아니었을까 싶다.)

근데 사실 이 글을 보다가 내가 더 궁금했던 건 지금의 내용이다. 그럼 다른 경우로 이건 비폭력 대화 분류에 들어가는 건 아니지만, 보통 누군가의 고민을 들어주거나 누군가 상심에 빠져 있을 때 난 보통 말 없이 들어주고 그 사람에게 긍정을 해주는 편이다. 대게는 이럴 경우 그냥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듣는 사람은 기분을 전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들 얘기를 한다. 근데 가끔은 '진짜 그럴까?'라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상심과 고민은 그 자리 그대로일 텐데 정말 들어주고 긍정해주는 것만으로 큰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아니 사실 좀 더 생각해보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어쩌면 정작 내가 고민을 말해 본적은 별로 없었던 이유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만약 그 사람이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것이 눈에 빤히 보이는데도 '그저 들어주고 긍정을 해주는 것이 옳은 일일까?' 라는 청자의 또 다른 고민에 대해서는 어떨까? 그래서 생각에는 이럴 경우 일단은 이야기를 들어주고 어느 정도 상대가 안정이 되었을 때 살며시 조언을 해주는 건 어떨까 싶기도 하다. 이럴 경우에는 애자일 블록의 창준님 말씀대로 일단 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해 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닐까 싶다.

사람의 감정이란 건 참 어렵다. 영화에서처럼 사람이 만든 기계들이 우리가 느끼는 이런 감정이란 걸 느낄 수 있다는 설정은 '절대 이루어질 수 없는 거짓말'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el.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먼저 찾는 것 그리고 오직 사랑으로  (6) 2008.07.21
Old Films - 2000년에 찍었던 비디오 발견!  (8) 2008.07.12
난 이미 그렇다고 믿는 것  (4) 2008.07.08
아날로그 동경  (9) 2008.07.07
단편들..  (2) 2008.07.04

+ Recent posts